피사의 사탑을 바르게 보는 방법 %ed%94%bc%ec%82%ac%ec%9d%98-%ec%82%ac%ed%83%91%ec%9d%84-%eb%b0%94%eb%a5%b4%ea%b2%8c-%eb%b3%b4%eb%8a%94-%eb%b0%a9%eb%b2%95
피사의 사탑을 바르게 보는 방법 %ed%94%bc%ec%82%ac%ec%9d%98-%ec%82%ac%ed%83%91%ec%9d%84-%eb%b0%94%eb%a5%b4%ea%b2%8c-%eb%b3%b4%eb%8a%94-%eb%b0%a9%eb%b2%95

이탈리야의 토스카나주에 가면 세계적으로 유명한 피사의 사탑이 있습니다. 흰대리석으로 된 원통형의 탑으로서 12세기에 지어진 것입니다. 문제는 그 탑이 5.5도 기울어져 있다는 것입니다. 이것 때문에 유명해지긴 했습니다만, 언제 붕궤될지 모르는 불안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이처럼 기울어진 탑을 바르게 볼 수 있는 방법은 없을까요?

두 가지 방법이 있다고 합니다. 첫째는 기울어진 것을 바로 잡는 것입니다. 제일 좋은 방법이긴 하지만, 지난 수백년간 시도했음에도 실패했습니다. 둘째로, 그것이 잘 안 된다면, 본인의 몸을 기울이는 것입니다. 탑이 기울어진 각도만큼 자신도 삐딱하게 서서 바라보면 바로 선 것처럼 보인다는 논리입니다. 그러나 과연 그것으로 문제가 풀린 것일까요? 아닙니다. 임시 방편에 불과한 졸속적인 해법입니다. 기울어진 탑은 여전히 기울어져 있는 것이요, 그것에 맞추느라 평생을 삐딱하게 살 수는 없는 노릇이기 때문입니다.

그럼에도 오늘날 많은 사람들이 이런 방식으로 인생을 살아 갑니다. “기울어진 사회정의, 삐뚫어진 가치관을 굳이 바로 잡을 필요가 있겠느냐, 그냥 함께 기울어진 채 살아가면 되는거지.” 이것을 좋게 표현해서 적응력이라 할지 모르지만, 사실은 세상 조류를 따라가는 처세주의에 불과합니다.

그러므로, 우리 크리스천들은 그런 삶을 지향하면 아니 됩니다. 기울어진 것은 기울었다고 말하고, 바른 것은 바르다고 말해야 합니다. 비록 우리의 힘만으로 세상을 바로 세울 수 없다고 할지라도 진리의 편에 서서 바른 것을 추구해야 합니다. 그래야 이 땅의 가치관이 붕궤되는 것을 막을 수 있습니다. 물론 우리의 능력으로는 안됩니다. 그러나 진리의 본체이신 하나님이 우리를 통해 일하신다면 기울어진 이 땅의 질서들이 하나씩 회복될 것입니다.

이런 의미에서 우리가 크리스천으로서의 정체성을 포기하지 않고 사는 것은 대단히 중요합니다. 작은 숫자일지라도 빛이 되고 소금이 될 때 아직은 희망이 있기 때문입니다. 날이 갈수록 어두워져 가는 이 세태 속에서 우리 모두가 작은 등불되어 살아가면 좋겠습니다. 샬롬!